* 전략안보프로젝트(Strategic Security Project)의 director 마이클 레비 라는 사람이 <New Republic>이란 잡지에 쓴 글입니다. (잡지 제목을 보아 하니, 미국 공화당 계열의 잡지가 아닌가 추측됩니다만...) * 미국이 북한 핵시설을 폭격하는 계획에서 가장 큰 문제는 - 오히려 이 미 알려진 영변 지역에 대한 정밀 공격은 방사능 피해가 크지 않을 수도 있지만 - 북한 핵시설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는 것이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외교적인 방식으로 북한핵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 입니다. * 물론 이런 방식의 주장을 옹호해서 글을 소개하는 것은 아니고요, 이런 문제가 언급되는 것을 보면 북한 핵시설 폭격 문제가 기술적인 방식까지 공공연하게 토론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을 듯하여 올립니다. 개략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많은 분석가들은 북한 핵시설에 대한 정밀 타격은 치명적인 방사능 낙진 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1994년 당시 북한의 핵 프로그램 은 단지 영변 지역의 하나의 재처리시설과 세 개의 원자로로 제한되어 있 어서, 효과적인 정밀 타격이 가능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현재 북한이 비 밀리에 개발하고 있는 농축우라늄 문제는 그것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어디 인지 알 수 없기 때문에 정밀 타격이 불가능하다. - 정밀 타격의 첫 번째 목표는 재처리시설이다. 기술적인 문제는 방사능 낙진이 흩뿌려지는 것인데, 최근 분석에 따르면 방사능 낙진은 북한의 작 은 일부 지역에 한정되거나, 대부분은 영변 지역 내부에 봉쇄될 것이라고 한다. 봉쇄된다는 게 무슨 말인가? 재처리시설은 1992년까지 절반 정도 완 성되었고, 따라서 미국 정보 당국은 완성된 재처리시설이 어떤 모습인지 추측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정보에 따르면 주의 깊은 정밀 타격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클린턴 정부의 고위 과학자는 "큰 화재의 발 생과 무거운 콘크리트 벽의 붕괴를 막아서 방사능 물질을 파편 속에 가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게다가 이런 방법은 북한이 책물질을 재활용하는 것 을 방해하는 보너스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 두 번째 목표는 원자로다. 대부분의 사람은 체르노빌을 기억하기 때문 에 파국적인 결과 없이 원자로를 타격을 가하는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지 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북한의 원자로는 천연 우라늄을 사용하는 데 이는 물론 유독성 물질이지만 핵물질은 거의 아니다. 원자로가 작동하 면서 이 우라늄이 핵분열을 통해 방사능 물질로 전환된다. 북한의 원자로 는 재가동되기 전에 우라늄을 채우는데 거의 한 달의 시간이 걸리므로, 위험은 크게 감소된다. 클린턴 정부의 고위 과학자는 "새로운 연료로 매 우 오랫동안 가동되기 전에 공격을 감행하면 방사능 물질이 흩뿌려지는 일 은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 그런데 진짜 어려움은 2002년 10월 떠오른 농축우라늄 문제다. 먼저 미 국은 북한이 언제쯤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지 모른 다. 그리고 그것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어디인지 전혀 모른다. 이러한 방식 의 핵물질 생산은 전기 소모가 매우 적으며, 또한 그 시설이 차지하는 공 간도 매우 작다. - 또한 영변 지역 외에 재처리 시설이 존재하느냐의 문제도 심각한 의문이 다. 레온 시갈에 따르면, 이 문제는 1994년에도 심각한 논쟁을 낳았던 문 제다. 재처리시설도 전기 소모가 적고 차지하는 공간이 작기 때문에 찾아 내기가 어렵다. 그리고 북한의 터널을 뚫는 기술을 볼 때, 지하에 설치했 을 수도 있기 때문에 찾아내는 것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이론적으로 플루 토늄 재처리는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인 크립톤-85(krypton085)로서 감지가 가능하지만, 일본과 중국의 합법적인 재처리 과정에서도 그 가스 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가능성은 매우 떨어진다. 1994년 위기 당시에 클 린턴 정부는 북한 내부에 최소한 12개 이상의 감지기를 설치하려고 시도했 지만, 미국의 협상가들은 그것이 너무 공격적이라고 여겨져서 폐기되었다. - 따라서 군사적 방식의 문제 해결은 큰 어려움을 내재하고 있다.
<세계사회포럼, 아랍 사회운동의 참가자들의 성명 > 2003.1.28 * 세계사회포럼 홈페이지에서 퍼온 글입니다. 아랍 사회운동의 현황을 조 사해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섯 가지 문제를 언급했습니다. 1) 제1회 아랍사회포럼을 개최할 것이다. 2) 이라크 인민에 대한 전쟁을 멈추기 위해 지역적 국제적 연합을 강화할 것이다. 3) 팔레스타인 인민에 대한 이스라엘의 점증하는 억압을 우려한다. 4) 아랍국가에서 인권, 민주주의, 발전의 악화에 대해 우려한다(특히 젠 더 평등, 약소자의 권리). 5) 세계화의 부정적이며 파괴적인 측면에 대항하는 세계사회운동을 적극 지원할 것이다. * * * 13/03/2003 Statement of the Arab Social Movements participating in the World Social Forum Porto Alegre, 23-28 january 2003 The World Social Forum taking place in Porto Alegre-Brazil gathered representatives of social movements from all over the world and from the different youth, union, women, and peasant sectors. The Forum constituted an important occasion for Arab civil society to meet and discuss different issues relating to the common future of civil movements in Arab countries. The Forum gave the chance for Arab representatives to meet with international delegations and to discuss with them different regional and international issues, mainly the question of war against the Iraqi people and the unfolding of the Arab-Israeli conflict. The Forum equally constituted an important occasion to reinforce networking,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different social movements and international organisations. After thorough dialogue and interaction with the participating groups, we, the representatives of Arab civil movements would like to emphasise the following points: First: We are utterly pleased with the important impact of the Moroccan Social Forum in further strengthening social movements in Morocco and in helping them to participate in the common struggle beside regional and world social movements. We were also glad that the Palestinian Social Forum, which constitutes an important instant in the history of the Arab and Palestinian struggle, was able to reinforce and reconfirm Arab and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Palestinian people in its ongoing struggle against occupation and Israeli repressive actions. In that context, we also support the initiation of Social Forums in other Arab countries due to the importance of these forums in conceptualising and formulating important strategies on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levels.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nd organising an Arab Social Forum in the shortest delay, which is considered an important step towards the reinforcement of common Arab struggle. This goes in parallel with empowering and strengthening ties with the world social movements that resist exploitation, injustice, hegemony, and colonialism. The participants agreed on the importance of expanding the consultation about this important idea that will prepare the launching of the first Arab Social Forum. Second: We call for the formation of the widest regional and international coalition to stop the war against the Iraqi people. This potential war poses catastrophic results entailing destruction and seriou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implications affecting the future of security, democracy, and social development in the Arab countries. We are also concerned that the Israeli government will take advantage of these circumstances to widen its war against the Palestinian people and to take repressive measures like mass deportation and transfer of the Palestinian populations. We would like to take this opportunity to call on all friends, allies, international and regional networks to secure direct international protection of the Palestinian people and to send different delegations to the occupied territories immediately. Third: We are greatly concerned about the danger of the growing Israeli aggression against the Palestinian people and Israeli policies of siege, displacement, endangerment, and house demolition in the occupied Palestinian territories. We would also like to confirm our support of the Palestinian people and of its brave Intifada and its constant struggle to establish its independent state on its national soil and to secure the return of displaced Palestinians according to international laws and conventions. Fourth: We would like to express our worries about the deterioration of human rights, democracy, and development in the Arab countries. The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refer to serious decrease of the levels of respect of public liberties in the Arab countries, especially concerning gender equality and the respect of minority rights. Therefore, we would like to reaffirm our commitment to the continuation of our struggle to secure justice, democracy, equality, freedom and the respect of human rights, and the equitable sustainable human development which we consider important conditions to initiate real and civilised change in the Arab countries. Fifth: We declare our support to all other social movements in their constant struggle to challenge the negative and damaging sides of globalisation, especially globalisation as defended by transnational corporations entailing marginalisation, colonialism, and utter hegemony. We therefore declare our unconditional support of the globalisation of common international human struggles that are based on forgiveness, diversity, democracy, and the right to choose. Another world is indeed possible. Arab social movements participating in the World Social Forum Porto Alegre, 28 January 2003
Frontline Issue 3 ( http://www.redflag.org.uk/main.html) The United States And Its Military Doctrine Of Imperialist Domin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끌로드 세르파티 Claude Serfati The following article by Claude Serfati originally appeared in the Marxist journal Carr Rouge, published in Paris. Claude Serfati has just published a book, La mondialisation arm e: le d s quilibre de la terreur (Armed globalisation, The imbalance of terror)(1). In it and in this article, he analyses how the United States uses and intends to use its military might in the defence of capitalist globalisation, of which it is the principal beneficiary. 2003년 4월호 기관지 번역예정 입니다.
교육개방 정책을 전면 철회하라! 3월 말로 예정된 도하개발의제 서비스 협정 부문 양허안 제출 시한이 다가오면서 교육개방에 대한 논의가 더욱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지난 해 6월 교육부문을 양허요청안에 포함시켰던 정부는 교육개방을 기정사실화하고 그에 대한 준비를 해왔다. 사립학교법, 고등교육법, 산업교육진흥법 등 교육에 관련된 법안을 개정하여 학교 및 교육기관의 영리행위를 보장하고, 학교설립 기준을 낮추고, 투자자본을 전액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를 취하고자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경제특구법을 통과시켜 경제특구 내에서 외국교육기관의 영리추구가 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외국인에게 교직을 개방하였다. 양허안이 확정되기도 전에 정부는 개방을 염두에 두고 국내 법률을 정비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 관료들은 교육개방이 시대적인 대세이고, 이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발빠른 대응이 필요하다고 호들갑을 떨고 있다. 하지만 교육이 개방되면서 득을 보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정부가 스스로 고백했듯이, 현재 추진하고 있는 개방화는 외국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것이다. 경제위기를 막기 위해서 외국의 자본을 유치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유치한 자본은 한국 민중들의 삶에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미 한국에 투자된 외국자본의 사례를 통해 보았듯이, 그들은 더욱 쾌적한 투자환경 조성을 요구한다. 그들이 말하는 쾌적한 투자환경에는 노동시장의 유연화, 민영화를 비롯한 공적 영역의 축소, 노동자 민중의 저항에 대한 탄압 등이 포함된다. 한국정부는 노동자민중들에 대한 이러한 공격들은 덮어둔 채 자발적으로 개방화 자유화 조치를 취해왔으며, 이제는 서비스 협정이라는 이름으로 남아있는 공적 영역에 대한 개방마저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교육이 개방되면 이익을 보는 사람들은 분명하다. 교육을 상품처럼 팔아 돈을 벌려는 초국적 자본들이 별 규제도 받지 않은 채 자신들의 영리활동에 자유를 부여받는다. 반면, 교육에 대한 공적 투자는 축소되고, 민중들은 개인의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게 된다. 이는 교육의 기회에서부터 불평등이 확산되는 것이며, 나아가 그나마 존재하던 평준화정책의 근간도 흔들릴 수 있다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이다. 이에 학생, 교사, 교수 등 제 교육주체들은 WTO 교육개방을 저지하고, 교육의 공공성을 지키겠다는 굳은 결의로 투쟁을 벌여내고 있다. 지난 10일부터 철야농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5일 'WTO 교육개방음모분쇄와 교육공공성쟁취를 위한 3.15 범국민대회'를 통해 정부의 교육개방에 반대하는 전 민중의 목소리를 모아낼 것이다. 정부는 교육개방을 반대하고, 교육의 공공성을 쟁취하고자 하는 민중들의 목소리를 엄중히 들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현재 추진하고있는 교육 개방을 위한 양허안 제출을 즉각 중단하고, 민중들에게 더 나은 교육은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다. 사회진보연대는 교육개방을 저지하기 위한 제 교육주체들의 투쟁에 굳건한 연대의 의지를 밝히며, 교육개방을 막아내고, 나아가 민중들의 삶을 파탄으로 몰아가는 신자유주의 세계화 반대, WTO 반대 투쟁에 힘차게 나설 것이다.
WTO DDA 협상 양허안 제출 시한에 즈음하여 WTO 도하개발의제(Doha Development Agenda, 이하 DDA)가 9월 멕시코 칸쿤에서의 각료회의와 서비스 협정 및 농업 협정 양허안 제출 시기(3월말)를 앞두고, 설정된 의제에 대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반면 9월 각료회의를 대응하기 위한 전 세계 사회운동들의 네트워크가 꾸려지는 등 DDA에 저항하는 민중들의 투쟁 역시 거세지고 있다. 이에 발맞추어 남한 민중들의 저항도 거세지고 있다. 지난 해 10월 7일 교사, 학생, 교수, 교육단체 등 교육주체들은 「WTO교육개방·교육시장화 관련 4대 입법 및 양허안 저지를 위한 공동투쟁본부」(이하 공투본)를 출범시켰다. 공투본은 향후 서비스협정에서 교육 부문 개방뿐만 아니라 이를 예비하는 각종 입법안을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투쟁의 결의를 다지고 있다. 공투본은 3월 6일 국제포럼, 3월 7일 「WTO 교육개방 음모 분쇄를 위한 비상 시국선언」, 3월 15일 「WTO 교육개방음모분쇄와 교육공공성쟁취를 위한 3.15 범국민대회」를 준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국농민회총연맹(이하 전농)도 양허안 제출 시한을 앞두고 투쟁의 의지를 드높이고 있다. WTO DDA 협상뿐만 아니라, 얼마 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까지 체결된 상황에서 정부의 농업말살정책이 그 극단을 보여주고 있는 상황에서 전농은 3월에 예정되어있는 시·군·구 영농발대식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 국회비준 반대투쟁으로 만들어가고, 3월 말 열릴 WTO 농업위원회 회의에 맞춘 전 세계 농민들의 투쟁에 함께 한다는 계획이다.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으로 이미 많은 수입농산물이 들어오고 있고, 2004년 쌀 재협상에서 쌀 개방을 준비하는 정부의 농업포기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민들은 목숨을 건 투쟁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개방화-사유화 정책 일등 국가, 한국 남한 민중들의 거센 저항에도 불구하고 WTO DDA 협상에 임하는 한국 정부의 태도는 누구보다도 적극적이다. 작년 김대중 전 대통령은 "개방할 것은 적극적으로 개방하고, 그만큼 우리가 요구할 것은 요구하겠다"는 것이 WTO DDA 협상에 임하는 한국 정부의 태도라고 천명했다. 노무현 정권에서도 이 입장은 변할 것이 없다. 현재 DDA 협상에서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의제는 서비스 분야와 농업 분야이다. 서비스 분야는 국가의 공적 서비스 영역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점에서, 농업 분야는 농산물 수입국과 수출국 사이에 첨예한 대립이 있는 상황에서 갈등적인 분야이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이 두 분야에 있어서도 WTO의 모범생다운 면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대다수의 국가들이 아직 양허요청안도 제출하지 않은 서비스, 농업 부문에서 자발적인 자유화 조치까지 취하면서 개방을 꺼리는 다른 국가들에게 자극이 되고 있는 것이다. 서비스 분야와 농업 분야는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이 마무리 될 당시 완전한 협상에 이르지 못한 분야였다. WTO 출범 시(1995년), 이 두 분야는 기설정의제(후속협상의제, Built-in agenda)로 규정되어 5년 이내에 협상을 재개해야하는 분야가 되었다. 이 규정에 따라서 2000년 2월부터 협상이 재개되었으며, 각 국은 올해 3월 31일까지 개방요청 사항을 담은 1차 양허안을 제출해야 한다. 현재 서비스협상의 경우 145개의 WTO 가입국들 중 단지 30여 개 국가만이 시장개방에 관한 양허요청서를 제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농업협정의 경우도 1차로 제출된 세부원칙이 농산물 수출국의 입장을 강하게 담고 있다는 점에서 많은 나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우리가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은, 저개발국 중 많은 나라가 아직 어떤 양허요구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는 점, 또 발전도상국 역시 다자간협상에서 서비스부분을 자유화하는 대가로 얻게 될 이익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지극히 회의적이고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이 두 분야에서 개발도상국 중에서 거의 유일하게 적극적 개방 입장을 제출했다. 과연 한국 정부는 개방화 조치에 뒤따르는 어떤 특혜를 노리고 자진해서 입장을 제출했는지 사뭇 의심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교육 개방을 핵심으로 하는 서비스 협상의 문제점 서비스 분야는 12개 분야 155개 사항을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교육, 의료, 문화, 금융, 건설, 해운, 통신, 법률, 시청각, 에너지 등이 포함된다. 한국 정부는 지난 해 6월말 36개국을 상대로 12개 분야에 걸쳐 서비스 시장 개방에 관한 양허요청서를 제출한 후, 미국, 유럽연합, 일본, 캐나다, 중국 등 18개국과 총 37회에 걸쳐 양자 협상을 가지며 양허요청안에 대해 조율해왔다. 정부는 지난 2월말까지 26개국으로부터 양허요청서를 접수했으며, 3월 3일부터 6일까지 스위스 제네바에서 서비스 시장개방 협상의 일환으로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이집트 등 주요 개도국들과 양자협상을 갖는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양허요청서와 양자협상의 결과에 따라 3월말까지 양허안을 제출하는 것이 개략적인 상황이다. 그러나 서비스 개방 협정은 선진국과 개도국 사이의 입장이 확연히 갈리는 분야이다. '무역과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국제센터'가 지난 2월에 제출한 서비스협정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유럽연합, 일본 등 선진국들은 더 많은 시장개방화를 요구하고 있지만, 저개발국 중 많은 나라는 아직 어떤 양허요구도 하지 않았고, 개발도상국은 다자간 협상에서 서비스 부분을 자유화한다고 해서 그들이 무엇을 얻을 수 있는지 회의적"이라고 한다. 사실 선진국의 경우 서비스 협정의 많은 분야가 이미 상당 수준 개방되어 있어서 더 개방할 것도 없는 수준이다. 따라서 서비스 협정의 많은 부분이 아직 개방되지 않은 개도국의 서비스 분야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인데, 이에 대한 개도국의 반발은 당연한 것이다. 이러한 갈등으로 협상이 진척되지 않는 상황에서 선진국을 중심으로 한 나라들은 이미 서비스 분야의 개방을 이룬 국가들에게 특혜를 주자는 입장을 제출하고 있다. 자발적으로 취한 자유화 조치에 대해 보상을 제공하는 방안인데, 이 또한 이미 개방을 상당 수준 진행한 선진국의 입장이 강하게 담겨있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정부의 경우 이 조치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데, 이는 이미 남한이 많은 부분을 자발적으로 자유화했다는 것의 반증이라 할 수 있다. 더불어 한국정부는 아직 개방되지 않은 서비스 영역을 적극적으로 개방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금융시장의 경우 지난 시기 상당 수준의 자유화 조치를 자발적으로 시행했고, 이제 남은 것은 그나마 공적서비스 영역뿐이다. 미국, 유럽연합 등의 국가들이 남한에게 개방을 요구하는 지점도 바로 이 지점이다. 그중 특히 교육의 경우 현재 알려진 바로는 미국, 호주, 뉴질랜드, 일본이 양허요청안을 통해 한국의 교육시장을 개방할 것을 요구했다고 하며 한국 정부의 의지 역시 비상한 부문이다. 그런데 교육시장이 개방될 경우 생기는 문제점들은 누차 지적된대로 한 두가지가 아니다. 우선 교육의 공공성이 붕괴될 것이다. 교육개방은 국가가 공적인 지원을 철회하고, 영리행위를 추구하는 교육기관에 대한 규제나 조절을 하지 않음으로써 국가의 책임을 사실상 포기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또한 교육의 불평등이 심화될 것이다. 개방을 통해 국가의 공적 지원이 축소, 철폐되면 교육비의 부담은 개인에게 돌아간다. 이는 경제적 능력에 따라 교육의 질이 달라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외국의 자본이 교육의 영역에 무차별 침투하게 된다. 교육기관의 질적인 책임을 담보할 수 없는 외국교육기관이 난립하면서 학문의 인기도에 따른 단기 교육과정을 운영하면서 교육의 질을 높이기보다는 투기의 대상, 이윤추구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외국의 대학 또는 대학원이 국내에 설립된 후 파산하게 되면 그간 투자했던 자본들을 고스란히 회수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게다가 정부는 한술 더 떠 양허안이 확정되기도 전에 교육관련 법령을 정비하여 입법하고 있는 실정이다. 경제특구법, 사립학교법 등이 바로 이러한 개방의 흐름에 맞춰 추진되고 있는 실내용들인 것이다. 노무현 정권, 농업 포기를 공식 선언하다 농업분야도 마찬가지다. 우루과이라운드에서부터 농업 부문을 개방하는 문제는 농민들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혔던 분야이다. 그만큼 개방을 반대하는 입장들이 다양하게 제출되었던 부문임에도 한국 정부는 지난 2월 개방제안서를 제출했다. 비슷한 시기 WTO 농업협상특별위원회 의장 하빈슨은 DDA 농업협상의 세부원칙에 관한 1차 초안을 배포했다. 세부원칙이 담고 있는 주요내용은, 관세를 감축하고, 감축대상에 대한 보조를 줄이고, 시장접근 물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미국 및 주요 농산물 수출국은 기대수준보다는 미흡하지만 협상의 기초로 삼을 수 있다고 평가한 반면, 유럽연합, 일본 등 농산물 수입국들의 경우 세부원칙 초안이 수출국 입장에 치우쳐 수입국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고 있다고 강력하게 비판했다. 그러나 한국은 개방제안서를 스스로 제출하는 성의를 보인 것이다. 그 주요내용은 2006년부터 6년 간에 걸쳐 관세감축을 이행하되 품목별로는 최소한 15%를 줄이고 농업 국내보조금 역시 총액기준 55%를 6년에 걸쳐 감축하는 방안이다. 현재 호주, 미국을 비롯한 주요 농산물 수출국 및 유럽연합만이 개방제안서를 제출했을 뿐인데 한국은 제안서를 제출한 유일한 개도국이 되었고, 성급하게 구체적인 개방 수치까지 포함한 입장을 밝힌 것이다. 우루과이라운드 당시 국내 농업의 생산기반, 농가소득, 경영규모 등이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떨어져 개도국 지위를 인정받았고, 현재의 한국 농업 상황은 97년 외환위기 이후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개도국 지위 유지가 가능했음에도, 알아서 개방제안서를 제출해 수출국들에게 개방의 여지를 제공한 것이다. 이번 DDA 협상에서 보건복지부가 보건의료분야의 개방 제안서를 미리 제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발표하고 노무현 대통령이 문화만큼은 협상에서 제외한다는 발언을 한 것 등을 종합해 볼 때 통상당국이 특히나 농업 협상을 포기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결국 UR협정에 이어 WTO DDA 협상이 이대로 타결된다면 우리 농업은 시장개방이 전면적으로 가속화되어 파탄날 수밖에 없는 최대의 위기상황이라 하겠다. 더 많은 자본유치를 위한 한국 정부의 자해(自害)와 민중에 대한 공갈협박 한국 정부의 '알아서 기는' 협상태도는 남한 자본주의의 전략이라는 큰 틀에서 바라봐야 할 것이다. 1997년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남한 자본주의의 전략은 기존의 중화학·수출중심 발전 국가에서 '자본유치형' 국가로 변모하는 것이었다. 김대중 정권 5년 동안 진행된 구조조정은 기업들의 부실을 처리하여 남한 경제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는 부실확대를 막고, 공적자금 조성을 통해 위기에 빠진 재벌, 금융사들을 구제함으로써 경제위기가 폭발하는 것을 막았으며, 금융부문의 규제를 없애고, 금융시장을 키우는 과정이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해외로 빠져나간 초민족 자본을 다시 유인하는 것이 김대중 정권이 이야기했던 경제위기 극복이고, 경제성장이었다. 뒤이어 등장한 노무현 정권에게 남겨진 과제는 분명한데, 계속해서 외국인 투자자본을 유치함으로써 '자본유치형' 국가를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남한이 계속해서 '신흥시장'으로서의 매력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저금리, 연기금 주식투자 등의 증시부양 정책과 금융 및 서비스 분야의 개방, 자유화 조치 등이 계속해서 추진되는 것이다. 금융부문에 있어서 자본의 진입 및 이탈에 대한 규제는 상당 수준 자유화 되어있는 상황이고, 따라서 DDA 서비스 협정에서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할 수 있는 남은 분야는 교육, 의료, 문화 등이다. 결국 서비스 협정에 앞장서는 한국 정부의 태도는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하여 남한 자본주의의 위기를 지연시키고자 하는 몸부림이며, 이 속에서 민중의 삶의 권리는 투자의 대상으로 쉽게 내어줄 수 있는 것이 된다. 게다가 남한 자본주의의 이러한 전략은 기존 산업의 파괴―특히 농업의 포기―를 동반한다. IT, BT 등 외국자본 유치에 매력적이고, 주식시장 부양책과 연관되어 있는 산업들이 적극 육성되는 것이다. 농업 협정에서 보여주는 정부의 농업포기정책은 외국인 자본 유치를 위해 농업을 대가로 내어놓는 것이라 할 것이다. 전 민중의 투쟁으로 WTO 개방에 맞서자! 남한 민중들이 외치는 저항의 목소리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더 넓은 개방, 더 많은 자유를 외치는 정부의 모습은 민중의 삶을 담보로 남한 자본주의의 위기를 지연시키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하지만 그렇게 살아남은 남한 자본주의가 민중에게 돌려주는 것은 더 커다란 궁핍과 배제, 삶의 파탄이다. AIDS를 비롯한 각종 질병이 창궐하는 아프리카 대륙의 비극은 어쩔 수 없는 것이 아니라, 지적재산권 협정을 무기로 위세를 부리는 초국적 제약회사들의 횡포 때문이다. 수입 농산물의 싼 가격에 밀려 농업을 포기하고, 생계를 포기해야 하는 소규모 농민들의 비애는 전 세계 농산물 시장의 70%를 점유하고 있는 초국적 기업들의 요구에서 비롯된다. 수도사업이 민영화되어 외국자본에게 넘어간 후, 전 국민의 1%도 안 되는 사람들만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는 상황이 남한에서도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교육, 의료, 문화, 통신 등 각종 서비스 분야 개방은 외국자본을 더 많이 유치해 국민 모두가 잘 살 수 있는 길이 아니라, 자본의 팽창을 위해 민중들의 권리를 팔아 넘기는 것이다. 교육시장개방을 저지하기 위한 교육주체들의 싸움, 농업개방을 막아내기 위한 농민들의 싸움을 신자유주의에 반대하는 전 민중의 싸움으로 만들어가야 할 임무가 우리에게 있다. 자본의 이윤창출을 위해 민중의 삶과 권리를 희생시키는 WTO 개방, 경제특구 등에 맞서 오늘 한국의 민중은 더 이상 양보할 것이 없다. 지난 농민운동의 역사를 모두 바쳐 투쟁에 임하겠다는 농민, 교육의 시장화를 막아내고 교육공공성을 쟁취하겠다는 교육부문, 그리고 개방으로 인해 침해당하는 노동권을 지켜내려는 노동자 등이 선도하고 전 민중이 가세하는 투쟁으로 삶을 지켜내야 한다. 3월 말의 민중대회부터 9월의 WTO 각료회의 투쟁, 11월 전민중 총궐기 투쟁에 이르기까지 전국민중연대를 중심으로 단결항 저항해야 한다. 나아가 WTO를 본질을 폭로하고 WTO 반대와 해체를 주장하는 전세계 민중들과 연대하여 DDA 협상에 대응해야 한다. 초민족적 기업과 국제금융자본에 의해 주도되는 신자유주의적 금융-세계화를 반대한다는 것은 결국 '저항의 세계화'의 다른 표현이기 때문이다.
세계를 움직이는 지배엘리트들의 배타적인 사교모임인 '다보스 포럼'에 맞서 민중 중심의 대안적 전망을 모색하는 세계 인민들의 연대의 장으로 2001년 1월에 시작된 세계사회포럼은 올해로 3회를 맞게 되었다. 1월 23일부터 28일까지 브라질 포르투 알레그레에서 열린 3회 사회포럼은 놀라울 만큼 그 규모가 확대되었다. 공식 집계에 따르면, 올해 세계사회포럼에는 156개국 717개 조직의 대표단 2만763명을 포함하여 10만여 명이라는 거대한 인원이 참석했다. 전체 회의, 세미나, 패널토론 등 공식 프로그램도 대폭 확대되었고, 이외에도 포럼기간동안 참가자들이 다양하게 조직한 워크샵이 1.286개에 이르렀다. 특히 지난 2회에 걸친 세계사회포럼은 유럽사회포럼(2002.11, 이탈리아 피렌체) 아시아사회포럼(2003.1, 인도 하이데라바드), 등 '지역별 사회포럼'과 정세적으로 중요한 특정 주제를 깊이 있게 논의하는 '주제별 사회포럼'('개발도상국에서 신자유주의 정책의 영향' 2002. 아르헨티나, '팬-아마존사회포럼')등으로 확산되고 있는데, 이는 세계 곳곳의 더 많은 사회운동들에게 더욱 풍부한 논의의 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눈여겨볼 것은 양적인 성장만이 아니다. 'Um outro mundo poss vel(또다른 세계는 가능하다)'라는 슬로건으로 표상되는 이 거대한 흐름은 신자유주의적 처방으로 극복될 수 없는 자본의 구조적 위기속에서 스스로 삶의 대안을 모색해가려는 전 세계 민중들에게 서로의 생각과 경험을 교류하는 장이 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롭게 분출하는 다양한 사회운동들은 상호 적합한 연대의 조건을 적극적으로 모색해가고 있다. 3회 사회포럼의 개요- 무엇이 논의되었나? 2001년 9.11 사태이후 '대 태러전쟁'으로 더욱 확대되고 있는 미국의 세계 각 국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이라크에 대한 공습계획과 북한 핵의혹을 둘러싼 한반도에 대한 전쟁위협으로 최고조에 달하고 있으며, 세계 경제의 장기적 불황과 이에 따라 민중의 삶의 위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세계사회포럼에 참석한 사회운동 세력들은 그 어느 때보다 연대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 포럼의 시작과 끝은 미국의 대 이라크 전쟁 반대, 식량 주권을 훼손하고 의료, 전력, 수자원 등 공공 서비스의 상품화를 촉진하는 WTO 도하개발의제와 전미자유무역지대(FTAA), 전 세계 민중의 삶의 위기를 초래하는 외채시스템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로 이루어졌다. 특히, 그 동안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반전시위의 기운은 개·폐막 행진으로 이어져, 참석자들은 미국의 군사적 위협에 처해있는 이라크, 팔레스타인, 베네수엘라 등의 기를 흔들며 각 국 민중들과 연대의 의지를 표명했다. 4일간 진행된 크고 작은 회의들은 짧게는 2003년 한해, 길게는 향후 몇 년간의 공동행동을 계획하는 자리가 되었다. 특히 24·25일 이틀에 걸쳐 진행된 '세계 사회운동 대회(World Social Movements Assembly)'에서는 오는 2월 15일 30여 개의 주요도시에 동시다발로 '반전평화 국제 행동' 개최할 것을 결의했으며, 3·8 여성의 날에는 가부장제와 여성에 대한 모든 종류의 폭력에 맞선 투쟁에 함께 할 것을 결의하였다. 또한 G8 정상회의(6월, 프랑스 에비앙), WTO 5차 각료회의(9월, 멕시코 칸쿤), IMF/세계은행 연차총회(9월, 미국 워싱턴), FTAA 전미 정상회의(10월, 미국 마이애미)를 계기로 하여 신자유주의 세계화를 추동하는 국제금융기구들에 대항하는 시위를 조직하기로 했다. 더불어 국제소농조직(Via-campesina)의 '국제농민대회', 주빌리사우스(Jubilee South- 남반구 외채거부 캠페인 네트워크)의 '외채의 부당성에 관한 회의', [우리의 세계는 상품이 아니다 연합(Our World Is Not For Sale-WTO 도하개발의제 반대 사회운동 네트워크)]의 전략회의, '세계 여성행진(World March of Women)의 워크샵'등에서는 이러한 행동 계획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각각의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세계 정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각 국에서 혹은 지역별로 이루어진 투쟁들을 보고하였으며, 향후 몇 년간의 계획에 대한 각자의 견해를 발표했다. 특히 지난 몇 년 동안 끊임없는 국가 붕괴와 경제파산을 경험한 남미의 참석자들은 이러한 상황의 근본적인 원인을 외채시스템으로 지적하며, 이는 IMF와 세계은행이 제시하는 조정 계획에 의해서가 아니라, 채무국들의 지불 거부를 통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을 통해 근본적으로 해결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들은 외채 지불거부가 민중들의 삶에 아무런 악영향도 가져다 주지 않을 것이라 단언하였으며, 이를 정치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점에서 올해 새롭게 취임한 브라질의 룰라 정부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또한 초국적 곡물기업에 의해 토지에 대한 권리와 종자 및 비료 사용에 대한 결정권 등 모든 권리를 박탈당한 멕시코를 비롯한 중남미 각 국의 농민들을 중심으로 전미자유무역지대 반대투쟁이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음이 보고되었고, 이러한 투쟁을 오는 9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리는 5차 각료회의 반대투쟁으로 확산시켜 나갈 것이 제기되었다. 2001년 출범한 WTO DDA 협상이 식량, 물, 교육, 의료, 에너지 등의 공공서비스를 상품화함으로써 민중들의 생존 자체를 위협하고, HIV/AIDS등 심각한 전염병으로 죽음으로 내몰리고 있는 민중들의 의약품에 대한 접근권과 여성들의 건강과 재생산에 대한 권리를 파괴하고 있음이 증언되었으며, 특히 이를 추동하는 농업협상과 서비스협상이 즉각 중단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쏟아져 나왔다. 이와 더불어 현재 남한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군 장갑차 살인사건에 항의하는 반미시위가, 미국의 군사주의적 전략을 반대하는 국제연대 투쟁으로 급진화 될 가능성에 주목하며, 부시정부의 북한 핵의혹을 빌미로 한 한반도 전쟁위협에 대한 공동의 대응이 필요하다는 한국 참가단의 호소는 많은 호응을 얻었다. 다양한 사회운동의 분출과 연대의 조건 세계사회포럼에 관한 중요한 결정은 브라질의 CUT(노동조합총연맹), MST(무토지농민운동), ATTAC(금융거래과세운동)등 8개 노동조합 및 사회운동 조직으로 구성된 '브라질 조직위원회(Brazilian Organizing Committee)'와 100여개의 조직으로 구성된 '국제평의회(Internatioal Committee-자세한 목록은 http://www.forumsocialmundial.org.br 참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브라질 조직위원회의 역할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02년에 2차례 진행된 국제평의회 회의에서는 그 역할을 국제평의회로 옮겨올 것이 결의되었다. 그러나 점차 대륙별 사회포럼과 지역별 네트워크들이 활발하게 조직되고 있고 그 규모가 확대되어 감에 따라 이러한 기구들의 역할은 개최 장소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각종 실무사항을 점검하는 정도에 한정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공동 투쟁의 의지를 다지고 구체적인 행동 계획을 합의해 가는 과정은 이들 기구에 의해서가 아니라 수많은 사회운동들간의 수평적인 논의와 교류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남미 사회운동들의 역할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데, 미국과 인접하여 끊임없는 군사적, 정치적 위협과 반복되는 국가 경제의 파산 상태를 경험하며 폭발적인 민중들의 투쟁이 분출하고 있는 남미는 최근 브라질, 에콰도르 등 잇단 좌파정권의 등장을 맞이하여 더욱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런데 특히 주목할 만한 흐름이 있다. 신자유주의 구조조정의 과정에서 극한의 생존의 위협이라는 상황을 맞이한 실업노동자, 무토지 농민, 여성들이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교육훈련 하며 삶의 터전을 공동으로 형성해 가는 방식의 운동들이 여전히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동들은 '다양한 운동들이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라는 논점을 제출하며 세계사회포럼의 규모와 내용이 풍부해지는데 많은 자양분을 공급하고 있다. 이들은 수많은 좌파정당들의 제도화와, 타협을 통한 기득권의 방어로 일관하고 있는 노조운동들을 목도하면서 스스로를 '정당이나 노조에 독립적인 사회운동들'로 표상하고 있다. 이들의 존재는 '노조운동과 사회운동이 결합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논점이 긴요한 논의과제로 제기되도록 하였다. 포럼의 참석자들은 작게는 몇몇 토론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각각 할당된 2개의 마이크를 번갈아 가동하며 논의를 진행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각각의 운동이 서로에게 적합한 방식으로 스스로를 개조하며 연대의 조건을 창출하는 과정을 경험할 수 있었다. 세계사회포럼은 수많은 사회운동들 간의 다양한 논쟁과 경험의 교류의 장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는 이것의 긍정적인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곧바로 각 국의 투쟁을 강화하고 세계 자본주의의 위기 속에서 이행의 조건을 제시해 줄 것인지는 단언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또한 남한의 민중운동이 전 세계의 민중들과의 수평적인 연대의 장에 뛰어들기 위해 스스로 어떤 조건을 형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 역시 우리에게 던져진 과제이다. PSSP
지난 2월 1일(현지시간) 미국의 우주왕복선 '컬럼비아호'가 16일 동안의 임무를 마치고 귀환하는 도중 공중에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탑승하고 있던 7명의 승무원이 전원 사망했다. 이에 따라 42년 유인(有人) 우주탐험 역사상 사고로 희생된 우주 비행사는 총 21명에 이르게 됐다. 사고 직후 미국 정부는 무기한 우주왕복선 발사 중지를 선언했다. 86년 챌린저호 폭발사건 때도 32개월 동안 우주왕복선 발사가 일절 불가능했다. 더구나 폭발 후 발견된 잔해들이 워낙 심하게 파손되고 불에 타 사고의 인과관계를 구성하기가 거의 불가능했기 때문에 사고의 정확한 원인 규명이 어려울 수도 있어 약 30년 동안 계속되어 온 우주왕복선 계획은 커다란 위기에 처해 있다. 더구나 이 사건을 계기로 그동안 미국 정부와 미 항공우주국(NASA)이 추진해 온 우주개발계획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커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부시 미국 대통령은“미국의 우주개발계획은 이번 참사를 극복하고 계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우주개발, 우주탐사는 적어도 근대가 시작된 이후 많은 사람들의 꿈이었다. J. 베른의 [달세계 일주]는 270m나 되는 대포를 쏴서 운항하는 탄환우주선으로 당대 최고의 인기를 끌었다. 1969년 7월 21일, 전 세계의 수많은 인류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미국의 아폴로 11호 선장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지구 이외의 행성에 발자국을 남기는 순간은 아마 우주여행의 꿈이 공상이 아닌 '가까운 미래에 실현될 것'으로 여겨지게 되는 가장 극적인 사건으로 기억될 것이다. 이후 우주를 여행하며 지구 이외의 행성에 도시를 만들고 인류 이외의 생명체와 만나는 상상은 가능한 현실이 되었다. 그리고 우주탐사의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이런 선언이 되풀이된다. "인류는 어떤 역경을 이겨내더라도 지구의 한계를 벗어나 우주를 자유롭게 거닐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언'들에는 '왜'라는 질문이 생략되어 있기 일쑤다. 주변의 환경의 제약을 넘어 서고자 하는 인류의 불굴의 의지만이 반복되어 선언되고, 낭만적 이미지들로 채색되어 되풀이될 뿐이다. 우주왕복선/국제우주정거장 계획을 둘러싼 논란 이번에 사고를 당한 우주왕복선의 컬럼비아호는 우주 공간에서 과학적 실험을 수행하는 한편, 국제우주정거장(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을 건설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다. 우주공간의 거대한 실험실로 활용한다는 계획에 따라 건설 중인 국제우주정거장은 미국과 러시아를 포함, 유럽연합(EU), 일본, 캐나다 등 모두 16개국이 참여한 최초의 국제 우주프로그램이다. 컬럼비아호 등 미국 우주왕복선은 정거장 건설에 필요한 각종 부품을 전담해 실어 날라 왔다. 태양전지판이나 트러스와 같은 부피가 큰 부품을 운반할 수 있는 능력은 우주왕복선만이 갖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발생한 이번 폭발사고는 국제우주정거장 건설작업은 물론 우주실험실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다시 촉발시키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은 화성에 가거나, 달 등에 인간이 거주하는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우주 공간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정거장 건설을 옹호한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대의 주장도 만만치 않다. 산출될 수 있는 과학적 성과에 비해 비용이 턱없이 비싸다는 것. 1000억 달러 이상의 재정이 투여되어야 함에도 정거장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적 실험들은 '그리 중요치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훨씬 저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실제로 그렇게 되고 있다'는 것이 반대의 근거이다. 나아가 유인 우주탐사 전반에 대한 반대의 입장도 있다. 무인(無人) 우주선과 무인 탐사로봇 등을 이용해서 훨씬 풍부한 과학적 탐사가 가능함에도 유인 우주탐사에 과도하게 집착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모든 우주탐사의 성과는, 과학적이든 실용적이든 거의 모두 무인 우주선과 인공위성에서 얻어 온 것이 사실이다. 결국 우주정거장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연구의 성과가 인류에게 그리 중요한 과학적 의미를 지니지 않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미 우주항공국은 왜 유인 우주탐사, 그리고 우주왕복선과 우주정거장 계획에 집착하는 것일까? 그 원인은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이 1950-60년대 소련과 체제 경쟁 속에서 왜곡되어 온 역사에서 찾을 수 있다. 그들은 왜 달에 갔는가?: 우주를 향한 정치적 레이스 인류를 최초로 달 표면 위에 올려놓은 '아폴로 계획'이 미국이 1950년대 냉전체제에서 소련과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은 익히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인류 최초의 스푸트니크호의 발사에 성공한 것이 미국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 내에서 2차 세계 대전 이후 존재했던 우주개발에 대한 계획의 방향을 선회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이 소련을 이길 수 있는 유인 우주탐사 계획이 무엇인가"가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그리고 인간을 달에 보내고 무사히 귀환시킨다는 '아폴로 계획'이 수립된다. 결국, J.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의 '10년 안에 인류를 달에 보내겠다'는 선언은 69년 아폴로11호의 달 착륙의 성공으로 현실화된다. 달에 처음으로 발을 디딘 사람은 다름 아닌 '미국인'이었다. 그는 "모든 인류를 위해 (달에) 왔다."고 쓰인 깃발과 함께 미국의 국기를 달 표면에 꽂았다. 미국은 전 세계 수많은 인류에게 자신의 체제가 가장 우월함을, 자신의 능력만이 전 인류의 보편적 이익을 실현시킬 수 있다는 메시지를 어떤 방식보다 강력하게 전달 할 수 있었다. 아폴로 계획 이전에, 유인 우주탐사 계획은 단계적 접근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당시 미국의 우주개발 계획을 주되게 입안했던 사람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에서 세계 최초의 탄도 미사일인 V-2를 개발했던 W. 폰 브라운이었다. 그는 먼저 지구 상공에 우주정거장을 띄우고, 우주정거장과 지구의 연락을 담당할 우주왕복선을 개발하여, 이후 달, 화성 혹은 그 이상으로 탐사를 하기 위한 발사시설을 건설하는 구상을 세웠다. 그러나 체제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J. F. 케네디 대통령은 이러한 단계적 접근 방식을 단번에 가시적인 성과를 내올 수 있는 아폴로 계획으로 대체했다. 또한 극적인 효과를 위해 무인 우주탐사보다 유인 우주탐사가 훨씬 선호된다. 일단 목표가 달성되자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은 정치적 추진력을 잃어 갔다. 더구나, 베트남 전쟁에 대한 미국의 개입이 실패로 돌아가며 미국 정부는 엄청난 재정압박에 시달리는 상황이었다. 결국, 72년 마지막 비행을 끝으로 재정이 바닥난 미 항공우주국에 더 이상의 전폭적인 지원은 경제적으로도 정치적으로 어려워졌다. 이런 상황에서 미 항공우주국은 우주왕복선에 대한 개발을 선택하는 대신 우주정거장 건설 계획은 유보한다. 그러나 '정거장 없는 셔틀버스'(컬럼비아호)는 그 근거가 부족했다. 미 항공우주국은 우주왕복선 계획을 폐기하는 대신 우주정거장 건설 프로젝트를 되살리는 방안을 택했다. 결국 1984년 레이건 정부에 의해 우주정거장 건설 계획은 다시 살아났고, 90년대에 들어와 몰락한 구소련 등의 이해관계와 맞물리면서, 국제우주정거장 건설 계획이 추진되기에 이른다. 미국의 우주탐사 계획은 1950-60년대 정치적 목표에 종속되어 왜곡된 방식으로 기틀이 잡혀져 버렸다. 무인 탐사보다는 유인 탐사가 선호되었고,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얻는데 집착해 왔다. 그리고 이런 정책은 관련된 기업-특히, 보잉-와 전문가로 구성된 강력한 집단을 형성시켰고, 다시 이들의 이해관계를 보호하는 방식으로 우주탐사가 진행되어 왔다. 지금의 우주왕복선-국제우주정거장은 이런 뒤틀린 구조의 결과물인 것이다. 미국의 우주개발계획의 또 다른 추진력: 우주의 군사적 이용(1950-60년대) 그런데, 정치적 배경만으로 미국의 우주개발계획의 문제를 설명하는 것은 일면적이다. 미국 정부가 다소 비경제적이고 비합리적인 계획을 추진하면서 우주에 대한 관심을 기울여 온 것은 단지 냉전시대의 정치적 선전(그렇게 부르기에는 너무 값비싼)이나 미 우주항공국의 특수한 이해 때문만은 아니다. 냉전시대는 물론이고 지금까지 미국 정부는 우주를 개발하고 활용함에 있어 군사적 목표와 이를 위한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 왔다. 미국이 군사적인 차원에서 우주에 눈독을 들이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부터이다. 특히 1957년 소련이 스푸트니크호 발사에 성공하자, 소련이 머지않아 지구 궤도상에 무기를 배치해 미국을 공격하거나 심지어 달을 군사기지화 할 것이라는 우려가 팽배해졌다. 위에서 언급한 우주레이스는 단순한 선전효과를 위해서가 아니라 군사적 이유에서 더욱 가속화되었다. 특히, 우주의 군사적 이용의 역사는 탄도미사일의 방어 수단 개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탄도미사일 능력은 핵무기 기술과 필연적으로 결합될 수밖에 없었고, 이는 '확실하게' 수천 만 명 내지는 수억 명의 사상자를 낼 수 있는 가공할 만한 것이었다. 자연스럽게 미국과 소련에서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방어하는 수단을 개발하고자 박차를 가했는데, 구체적으로는 우주에서 핵무기를 통해 요격하는 방안이 검토되었다. 1958-62년에 걸쳐 미국은 7차례, 소련은 4차례에 걸쳐 우주 공간에서 핵실험을 단행했다. 그러나 핵탄두를 사용하는 우주 요격 계획은 정확도가 떨어지는 만큼 비용이 엄청났고, 핵폭발로 인한 전자기파가 자국의 레이더망을 무력화시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소련은 우주의 군사적 이용에 제한을 두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1963년에는 제한핵실험금지조약으로 우주에서 핵실험 금지를 포함시켰고, 1967년에는 UN 결의안 형태로 '우주의군사적이용금지조약'이 통과되기도 했다. 또한 1972년 '미사일방어망제한협정'(ABM Treaty)을 통해 미소 양측이 우주 배치 미사일방어망(MD) 구축을 금지하기도 했다. 미국의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위한 구상은 단지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요격 계획으로만 한정되었던 것은 아니다. 1950년대에는 달에 군사기지를 건설하고 핵무장을 하는 것이 미국의 안보에 있어 중요한 프로젝트로 검토되었다. 달의 뒷면(언제나 지구에서는 볼 수 없는)을 이용하여 미사일기지와 적국에 대한 스파이 활동을 하는 정보기지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주되게 제기되었다. 1958년에는 미국의 공군에 의해 체계적인 검토 프로젝트가 진행되는데, 정보수집 활동을 주로 하는 기지를 건설하는 'SR-183'과 직접적인 공격을 담당하는 'SR-192', 달의 궤도에 무기를 설치하거나 무기를 실은 우주선을 배치하는 'SR-182' 등의 계획이 연구되었다. 공군만이 아니라 육군 역시 59년 "Project Horizon" 이라는 비슷한 연구 보고서를 내 놓았다. 물론 대부분 연구 결과 군사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끝내 정부의 승인을 얻지는 못했다. 그러나 60년대 아폴로 계획이 추진되는 과정에서도 달을 군사적으로 이용하려는 시도는 계속되었다. 공군은 61년 케네디의 '달 착륙 선언'이 있자, 50년대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LUNEX'(Lunar Expedition Plan: 달정복계획)라는 이름의 프로젝트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만약 이 주장이 받아 들여 졌다면, 69년에는 미국의 국기만이 아니라 미국의 국기가 새겨진 무기가 지구를 겨냥하고 세워졌을지 모르는 일이다. 비전 2020: "우주를 통제하는 자가 지구를 장악한다!" 군사적 목적으로 우주를 이용하려는 시도는 70년 이후 사라진 듯 했다. 분명 1950-60년대와 같은 우주공간에서 군비경쟁은 사라졌다. 경쟁의 한 축이었던 소련은 해체되었고 냉전체제는 해체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세계 유일 초강대국으로 지위를 누리고 있는 미국은 여전히 자신의 지위를 유지·강화하는데 우주에 대한 군사적 지배를 중요한 측면으로 고려해 왔다. 미 우주사령부(The United State SpaceCommand)는 1996년 '비전 2020'을 발표하여 "모든 전장에서의 모든 형태의 지배력"이 필요하며, 우주공간을 군사적으로 장악할 준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이는 이후 1998년 '장기계획서'(Long Range Plan)로 보다 구체화된다. 장기계획서는 "지금이야말로 혁신된 개념의 군사작전인 우주공간에서의 군사작전 능력과 조직을 개발해 21세기의 도전에 대비해야 할 때"라며 구체적인 우주통제계획, 우주장악계획, 군통합계획, 전지구적 개입계획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우주공간의 군사적 활용이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비전2020'은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세계경제의 통합은 지속될 것이며, 부국과 빈국의 간극은 더욱 커지는 상황을 맞아 우주공간과 이를 통한 지구 장악을 통해 미국은 빈국의 불만을 묶어 둘 수 있을 것이다. 세계화의 필연적인 결과 배제된 지역과 사람들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지역적 분쟁들을 군사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것이다.(이 얼마나 직설적인 화법인가?) 이를 위해서는 우주라는 전략적 공간을 장악해야 한다. 우주(특히 근-지구권의 우주)는 기존의 무기체계, 육지, 바다 등과 같은 다른 전장(戰場)에 비해 손쉽게, 그리고 정확히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세계 전역에 손쉽게 군사적 억지력 혹은 공격력을 행사할 수 있어, 앞으로 문제가 될 지역적 분쟁을 관리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더욱 주목해야 할 부분은, 이러한 구상이 50년대의 '달의 군사기지화'를 위한 수많은 제안들과 달리 '계획'에서 '실행'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테러와의 전쟁'을 통해서 드러난 미국의 새로운 전쟁개념인 '예방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우주의 장악만큼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최근 박차를 가하고 있는 미국의 MD(미사일방어)계획은 이러한 미국의 우주를 통한 지구장악 전략의 첫 걸음이다. MD의 핵심적 기술인, 정확한 정보수집 능력, 우주기반 레이저 개발 사업, 미국의 첩보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탄도미사일 요격 기술 등은 바로 이후 우주장악의 기반이 되는 기술이다. 더구나 현재 '테러와의 전쟁'을 이끌고 있는 도날드 럼스펠트 미 국방장관은 '국가안보를 위한 우주공간 관리 및 조직평가 위원회' 의장을 맡으며 "럼스펠트보고서"를 통해 "대통령이 우주무기를 배치할 권한을 보유해야 하며, 현 우주사령부를 우주군으로 개편해야 한다"며 미국의 우주지배 전략의 청사진을 제시하기도 했던 인물이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부시 행정부가 이후 우주의 군사적 이용을 위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할 가능성은 매우 높다. 이런 우주개발 계획에는 지구를 대체하는 새로운 삶의 터전이자 진취적인 인류의 끝없는 탐험의 공간으로 그려지는 낭만적인 우주는 어디에도 없다. 또 다른 전장(戰場)으로서 우주만이 있을 뿐이다. 이런 우주만이 있는 우주개발은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억압과 배제, 전쟁과 대량학살을 더욱 확장시키는 결과만을 가져 올 것이다. 컬럼비아호 사고: 우주의 사전 경고? 최근 미 항공우주국은 컬럼비아호가 발사된 지 하루 만에 우주에서 뭔가와 충돌했거나 선체로부터 모종의 물체가 떨어져 나간 사실을 확인하고 자세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이것이 사고원인인지, 무엇과 충돌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구멍이 뚫린 날개가 발견되면서 '우주 쓰레기'와 충돌이 사고의 원인이라는 주장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통상 우주는 비어있다고 생각되지만, 지구 근처의 우주는 '우주 쓰레기'로 가득 차 있다. 현재 추적이 가능한 직경 10cm이상의 물체만 9000여 개에 달하며, 구슬크기 이상의 쓰레기는 100,000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위험한 직경 10cm이상의 것은 대부분은 인간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로켓발사 당시 혹은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 등을 통해 주로 발생한다. 특히,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MD계획은 엄청난 우주 쓰레기를 양산할 수 있다. 우주 무기를 실험하는 단계에서 뿐 아니라, 만일 실제로 우주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지구 250-600km 상공의 지구 저궤도는 '우주 쓰레기장'이 될 것이라며 많은 과학자들이 경고하고 있다. 더욱 정확히 표현하면 지구의 상공은 초속 7.9km의 속도로 도는 수많은 미사일로 뒤덮일 수 있다. 이번 컬럼비아호의 참사는 혹시 우주의 군사적 이용이 불러 올 참혹한 결과를 인간에게 경고하는 '우주의 사전경고'가 아니었을까? 이번 사고가 '우주쓰레기'와 아무런 상관이 없다하더라도 왠지 그렇게 믿고 싶다. 유럽에서 시작된 '대항해의 시대'는 수많은 인종학살과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지 쟁탈전, 그리고 두 차례의 끔찍한 세계대전으로 귀결되었다. 조심스럽게 시작된 새로운 공간을 향한 인류의 항해가 어디로 향할지. 현재 MD를 비롯한 미국 정부의 우주공간의 군사화 시도를 막지 못한다면 더욱 끔직한 미래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을지 모른다. PSSP